서브넷
서브넷은 IP주소에서 네트워크 영역을 부분적으로 나눈 부분 네트워크를 뜻한다.
IPv4주소 체계는 클래스를 나누어 IP를 할당한다 하지만 이 방식은 할당이 된 호스트를 제외한 나머지 할당 가능한 호스트가 낭비가 된다 이러한 비효율성을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 장치들의 수에 따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브넷이 등장하게 되었다
서브넷 마스크
IP주소의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을 구분하는 데 사용되는 32비트의 숫자이다.
서브넷 마스크를 조정하면 네트워크를 다양한 크기로 분할할 수 있습니다.
IP주소에 1.0.0.1 /24로 표시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서브넷 마스크의 bit 수를 나타낸다.
Class | 이진법 | 십진법 | 기본 서브넷 마스크 |
A Class | 0xxxxxxx xxxxxxxx xxxxxxxx xxxxxxxx | 0.0.0.0 ~ 127.255.255.255. | 255.0.0.0 |
B Class | 10xxxxxx xxxxxxxx xxxxxxxx xxxxxxxx | 128.0.0.0 ~ 191.255.255.255 | 255.255.0.0 |
C Class | 110xxxxx xxxxxxxx xxxxxxxx xxxxxxxx | 192.0.0.0 ~ 223.255.255.255 | 255.255.255.0 |
서브넷팅
IP주소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원본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서브넷으로 분리하는 과정을 말한다.
192.168.0.0/24의 할당 가능한 host의 수는 2^8-2=254개이다. 여기서 2개를 빼는 이유는 첫 번째 주소인 192.168.0.0은 Network Address로 쓰이고 마지막 주소인 192.168.0.255는 Broadcast로 쓰이기 때문에 호스트에 할당할 수 없다.
서브넷 마스크의 bit수를 1 증가시켜 192.168.0.0/25로 변경하게 되면 Network ID부분을 나타내는 부분이 24비트에서 25비트로 증가하고 Host ID를 나타내는 부분이 8개 비트에서 7개 비트로 줄어든다.
할당 가능한 네트워크 수가 2개로 증가하고 각 네트워크당 할당가능한 호스트 수는 2^7-2=126개로 줄어들고 서브넷 마스크가 255.255.255.128로 변경된다.
[자료] 해당 사이트를 참고하였습니다
[네트워크] 서브넷, 서브넷마스크, 서브넷팅이란? | 서브넷팅 예제
서브넷의 등장 배경 흔히 사용되는 IPv4 주소 체계는 클래스를 나누어 IP를 할당한다. 하지만 이 방식은 매우 비효율적이다. 예를 들어 어떤 기관에 A 클래스를 할당한다고 하면 16,777,214개의 호스
code-lab1.tistory.com
'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켓, 소켓통신 (0) | 2024.03.21 |
---|---|
NAT, 게이트 웨이 (0) | 2024.03.14 |
ARP, RARP (1) | 2024.03.06 |